국정원의 종북몰이와 뉴라이트세력의 친일미화 교과서발행 사건은 동일선상에 있음을 분단된 민족의 불행한역사가 말해주고 있다‥
더 슬픈현실은 수많은 목사들이 뉴라이트세력의 고문과 자문위원으로 등록되어 있다는 것이다‥
포악한 권력을 향해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던 김수환 추기경‥
함석헌 선생 등‥
수많은 종교지도자들이 잘못된 권력으로부터 민중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권력과 맞섰다‥
이 혼탁한 세상에서 씨알의 예수를 생각한다‥
과연 이시대의 종교의 역할과 추구해야 할 가치는 무엇인가?
민중신학을 실천하며‥
군부독재에 저항했던 씨알사상을 생각해 본다‥!
☞
함석헌의 생애는 저항과 투쟁으로 일관했다.
일제에 대한 저항으로 3.1만세시위 참여, 계우회사건, 성서조 선사건, 독서회사건 등으로 구속되고, 해방후 신의주학생사 건으로 소련군에 의해 구속되고, 월남해서는 이승만ㆍ박정희 ㆍ전두환 정권에 의해 구속되는 등 온갖 고난을 겪어야 했다.
그는 펜이 요구될 때는 진짜 글을 통해 할 말을 하고, 제도 언 론이 봉쇄당할 때는 온몸을 던져 행동으로 독재권력에 맞서 싸웠다. 언론이 압제자의 편이 되어 왜곡과 곡필을 서슴지 않 을 때 ‘언론의 게릴라전’을 제창하면서 직접 월간 <씨알의 소 리>를 창간하여 독재권력과 싸웠다.
그의 사상적 근저에는 노자와 장자의 무위사상, 기독교의 박 애정신, 간디의 비폭력 평화주의가 뿌리깊게 자리잡고, 헨리 데이빗 소로우의 자연주의와 초월사상이 녹들었지만, 본바탕 의 정신은 기독교 사상에 뿌리를 둔 비폭력사상은 저항이고 투쟁이었다. 휘트맨의 <풀잎>이나 쉘리의 <서풍>에서 보이듯 이, 치열한 저항정신과 도전의식에서 삶의 본질을 찾고 고난 의 가치를 일깨웠다.
그는 결코 유약한 선비나 초월적인 종교인, 관념론적인 사상 가가 아니고 ‘정신의 순례자’는 더욱 아니었다.
이 세상의 모든 단어가 사라져도 저항이라는 말은 영원히 살 아남을 것이라고 가르치고 행동한 ‘싸우는 평화주의자’ 이다.
-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의 글에서‥-
'예수사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십자가 (0) | 2013.10.13 |
---|---|
종교의 역할과 사명을 다하라‥! (0) | 2013.10.06 |
그리스도인의 사명 (0) | 2013.08.25 |
진정한 예수 제자의 역할 (0) | 2013.08.14 |
허영의 도시. 허영의 교회 (0) | 2013.08.10 |